본문 바로가기
날씨

올겨울 예상되는 '널뛰기 날씨', 북극한파와 엘니뇨현상의 영향

by 조이마이데이 2023. 11. 13.
반응형

 

올해 겨울은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기온 양극화 현상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 11월초인데 벌써 영하?

11월 11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은 평년보다 7도 이상 낮은 -1.9도를 기록했다. 

바람까지 거세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이보다 낮은 -4.4도로 예상됐다.

지난 4일 아침 최저기온이 14.1도 였는데 불과 일주일만에 기온이 15도 이상

떨어진 것이다.

 

2. 기온이 급변한 이유

이처럼 기온이 급변한 것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면서도 

한번도 북쪽에 쌓여 있던 강한 냉기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록적인 고온 현상을 보이던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이

순식간에 차갑게 얼어붙었다.

 

 

3. 이번 겨울철에 받는 영향

북극 온난화는 한반도를 비롯한 북반구의 겨울철 기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북극이 달궈질수록 극지방의 냉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뱀이 구불거리며

움직이는 것처럼 사행하면서 북반구 곳곳이 이상 한파에 시달린다.

 

이런 극과 극 날씨 패턴은 겨울철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위가 심해질 뿐 아니라

추위도 더 혹독해진 탓이다.

기후학자들이 특히 주목하는 건 북극의 온난화다.

북극의 온난화는 전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북극의 기온이 급격히 오르면서

해빙은 매년 무서운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4. 북극 온난화가 일으키는 극단적인 추위!

실제로 2020년에는 북극 해빙 면적이 10월 기준으로 

역대 가장 작았을 정도로 북극에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듬해 1월 제주에 역대 처음으로 한파경보가 발령되는 등 극심한 추위가 한반도를 덮쳤다.

지난해 12월에도 이른바 '북극 한파'로 불리는 혹독한 추위를 겪었다.

북극이 더워질수록 한국은 추워지는 이른바 '온난화의 역설'이다.

 

5. 또 하나의 변수 '엘니뇨'

4년 만에 돌아온 '엘니뇨'는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높게 유지되는

기후 현상을 말한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엘니뇨 현상이 일어나는 동안 육지와 해양 모두 온도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올해 전 세계는 엘니뇨와 기후변화가 맞물리면서 매달 기온 기록을 경신할 정도로

전례 없이 달궈진 상태다. 

한국의 경우 엘니뇨가 발달한 해에는 초겨울에 고온다습한 남풍이 자주 유입되면서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6. 북극의 온난화와 엘니뇨가 맞물리면?

앞서 말한 북극온나화와 엘니뇨가 맞물리면 그야말로 기온 널뛰기 현상이 일어날 전망이다.

올 겨울 평균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지만,

일시적으로 강한 한파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김주홍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북극 한기는 이미 우리나라 북쪽에 자리 잡고 있어서 

조금만 힘을 받으면 언제든 내려올 수 있다"면서도

"엘리뇨가 발달기에 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긴 추위가 올 것이라고 보기는 아직 이르다"

고 말했다.

 

 

 

 

출처:더중앙일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