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들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지진 시 행동 요령을 알아보자.

by 조이마이데이 2024. 1. 3.
반응형

진행별 행동요령

지진, 평소에 이렇게 대비합니다.

 

1. 집 안에서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집 안에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해 둡니다.
  • 유리창이나 넘어지기 쉬운 가구 주변 등 위험한 위치를 확인해 두고 지진 발생 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깨진 유리 등에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둡니다.
  •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난로가 위험물은 주의하여 관리합니다.

2. 집 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합니다.

  • 가구나 가전제품이 흔들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 둡니다.
  • 텔레비전, 꽃병 등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않도록 합니다.
  • 그릇장 안의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문을 고정해 둡니다.
  • 창문 등의 유리 부분은 필름을 붙여 유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합니다.

 

3. 집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 가스 및 전기를 미리 점검합니다.
  • 건물이나 담장은 수시로 점검하고, 위험한 부분은 안전하게 수리합니다.
  • 건물의 균열을 발견하면 전문가에게 문의하여 보수하고 보강합니다.

4. 평상시 가족회의를 통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비합니다.

  • 가스 및 전기를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 둡니다.
  • 머물고 있는 곳 주위의 넓은 공간 등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알아 둡니다.
  • 비상시 가족과 만날 곳과 연락할 방법을 정해 둡니다.
  • 응급처지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익혀 둡니다.

5. 평소 비상용품을 잘 준비해 둡니다.

  • 지진에 대비하며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 장소와 사용방법을 알아 둡니다.
  • 지진 발생 시 화재가 발생 할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사용방법을 알아 둡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이렇게 대피합니다.

 

1. 튼튼한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 튼튼한 탁자의 아래로 들어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합니다.
  •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을 때에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합니다.

 

2. 가스와 전깃불을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춘 후 당황하지 말고 화재에 대비하여 가스와 젓길불을 끕니다.
  • 문이나 창문을 열어 언제든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를 확보합니다.
  • 흔들림이 멈추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나갑니다.

3. 집에서 나갈 때는 신발은 꼭 신고 이동합니다.

  • 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이나 떨어져 있는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으니, 발을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신고 이동합니다.

4. 계단을 이용하여 밖으로 대피합니다.

  • 지진이 나면 엘레베이터가 멈출 수 있으므로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합니다.
  • 밖으로 나갈 때는 떨어지는 유리, 간판, 기와 등에 주의하며,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5. 건물이나 담장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합니다.

  • 건물 밖으로 나오면 담장, 유리창 등이 파손되어 다칠 수 있으니, 건물과 담장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대피합니다.

6. 낙하물이 없는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떨어지는 물건에 주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이동할 때에는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대피합니다.

 

7.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 대피 장소에서는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킵니다.
  • 지진 발생 직후에는 근거 없는 소문이나 유언비어가 유포될 수 있으니,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출처:네이버지식백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