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산부가이드

임산부 가이드: 임신 후기의 건강관리, 정기검진, 생활수칙

by 조이마이데이 2023. 10. 12.
반응형

 

1. 정기 검진

한 달에 한번씩 하던 정기 검진을 임신 28주부터는 2주에 한번으로 늘리고, 

36주부터는 매주 한번 씩 검진 합니다.

체중, 혈압, 소변검사, 태아 발육 측정을 주기적으로 해주고

출혈, 통증이 있는지도 잘 확인합니다.

 

<내진>

분만 예정일이 가까워지면 최종적으로 자궁 진찰을 합니다.

골반이 태아를 충분히 분만할 수 있는 크키, 형태인지

태아의 위치는 확실한지, 자궁경부의 상태는 어떠한지 등을 확인하고 

분만의 방법을 결정합니다.

 

<분만 전 초음파 검사>

태아의 위치, 크기 및 태반의 위치, 양수 등을 진단하여

분만 전에 산모와 태아의 전반적인 상태를 최종 점검합니다.

 

<태아 안전 검사-NST검사>

분만 전에 태아의 안전 상태와 자궁 수축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임신성 당뇨, 임신 중독증 등 합병증이 동반된 임신과 조기 진통이 의심되는 경우 시행합니다.

 

 

 

2. 생활 수칙

<운동>

임신 후기 때는 배가 많이 불러있는 상태이므로 어지럽거나 호흡이 가빠지는 것을 주의하며

자궁 수축이 있을 때는 운동을 중단해야 합니다.

 

<음식>

임신 후기때 너무 많이 먹게 되면 단기간에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체중관리에 유의합니다. 단백질과 채소 위주로 고영양 저칼로리 음식을 섭취합니다.

지나친 체중 증가는 분만 시 진통이 더 힘들어지고,

제왕절개 확률도 높아지므로 이 시기에도 체중 조절에 소흘하지 않도록 합니다.

 

<조산 방지>

피로감이 심하거나 배가 단단하게 뭉치거나 당기는 등 문제가 생기면 안정을 취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산 준비>

분만에 필요한 준비물을 미리 챙겨둡니다.

분만의 보조 동작과 호흡법 등을 미리 알아두는것도 좋습니다.

 

 

 

 

 

 

 

반응형